:걸프 전
Gulf War
걸프는 영어에서 폭에 비해 안쪽이 긴 만을 뜻하며
걸프는 페르시아 만을 영국에서 이르던 이름으로, 오늘날 영어권 국가에서 그곳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걸프는 가끔 걸프 전쟁을 뜻하기도 한다.
[만(灣)은 바다가 육지 쪽으로 굽어 들어온 곳, 즉 해안선에 의해서 둘러싸인 수역을 말한다. 고유어로는 물굽이라고 한다. 영어로는 보통 규모가 작으면 'Bay', 규모가 크면 'Gulf'로 부르는데, 정확한 기준이 있지는 않다.]
요약
걸프전쟁(페르시아만전쟁)은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 점령한 것에 대해 1991년 1월 17일 미국이 주도한 다국적군이 이라크 공격을 개시하며 시작된 전쟁이다. 같은 해 4월 7일 이라크가 국제연합(UN, United Nations) 안전보장이사회의 휴전 결의안 제687호를 수락함으로써 다국적군의 승리로 종결되었다.
이라크 대통령 사담 후세인은 1990년 8월 2일 쿠웨이트를 전격 침공하여 점령하고 쿠웨이트를 이라크의 19번째 속주(屬州)로 삼아 통치권을 행사하였다. 이라크의 침공 직후 쿠웨이트 왕가는 사우디아라비아로 피신하여 망명정부를 수립하였다.이에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 각국은 8월 2일부터 12건에 이르는 대(對) 이라크 유엔(UN) 결의안을 통과시켰고, 이를 통하여 이라크를 침략자로 규정하고 이라크군의 즉각적인 쿠웨이트 철수와 쿠웨이트 왕정복고, 대 이라크 무역제재 등의 강력한 이라크 응징을 결의하였다.
유엔 안보이사회는 1991년 1월 15일까지 쿠웨이트에서 철군하지 않을 경우 이라크에 대한 무력사용을 승인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를 전후하여 미국이 대 이라크전에 대비한 다국적군의 결성을 주도함으로써 43만의 미군을 포함한 34개국의 다국적군 68만 명이 페르시아만 일대에 집결하였다. 이라크도 50여 만의 정규군과 50여 만의 예비군을 동원하고, 정예 공화국 수비대 15만 명을 쿠웨이트 및 이라크 남부 지역에 집중 배치하여 대치하였다.
배경
1988년 8월 20일 이란·이라크전쟁 휴전 이후 사담 후세인(Saddam Hussein) 이라크 대통령은전쟁 중 누적된 외채 부담과 국제 원유가 인하로 경제개발계획이 뜻대로 진행되지 않자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등에 외채 탕감 등 지원을 요청
쿠웨이트는 1963년 국경 확정 이래 이라크 루마일라(Rumaila) 유전 지역의 원유 채굴과 관련해 이라크와 분쟁이 있어 온바, 외채 탕감 등의 요구를 거절하였다. 이라크는 루마일라 유전 분쟁과 관련해 진행되던 사우디아라비아의 중재를 거부하고 1990년 8월 2일 쿠웨이트를 침공
이라크는 역사적으로 쿠웨이트가 이라크 바스라(Basra) 주에 속하는 자국 영토로서 1962년 영국이 석유 이권을 확보하기 위해 쿠웨이트를 분리, 독립시킨 것은 부당하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그와 같은 분쟁 상황에서 이라크는 쿠웨이트와의 국경 지역인 루마일라 유전 지역에서 쿠웨이트가 24억 달러 상당의 원유를 불법 채취하였다고 주장하였고 쿠웨이트의 부비얀 섬을 99년간 조차하도록 요구하였다가 쿠웨이트로부터 거절당한 바 있다.
이라크는 쿠웨이트가 석유수출국기구(OPEC)1) 쿼터량을 초과해 원유를 생산하여 국제 원유가를 하락시키는 장본인이라고 규정하였다. 아울러 쿠웨이트를 침공한 데에는 국내적으로 후세인 자신의 입지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었으며 장기 집권에 대한 이라크 국민의 불만을 무마하고 아랍을 제패하려는 후세인의 야욕도 작용하였다.
결과
미국은 이라크의 철수 시한 이틀 뒤인 1991년 1월 17일 대공습을 단행하였고, 압도적 공군력을 바탕으로 1개월간 10만여 회에 걸친 공중폭격을 감행하여 이라크의 주요 시설을 거의 파괴하였다. 같은 해 2월 24일에는 전면 지상전을 전개하여 쿠웨이트로부터 이라크군을 축출하고 지상전을 개시한 지 100시간 만인 2월 28일 전쟁종식을 선언하였다.
이 전쟁은 유엔의 결의에 따른 집단안보를 위한 조치로 취하여진 전쟁으로서 첫째, 그동안 개발하여 실전에서 실험하지 못한 하이테크 병기의 실험장이었다는 점, 둘째 텔레비전이라는 대중매체를 이용하여 여론(輿論)을 조작한 전쟁이었다는 점, 셋째 산유(産油) 지역에서 산유국끼리 직접 정면대결한 전쟁으로서 국가에 의한 인질전략을 사용하였다는 점 등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