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모 MEMO/단어vocabulary

흠차대신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흠차대신


 欽差大臣

공경할 흠-다를 차-큰 대-신하 신




중국 청나라 때의 임시관직을 말합니다.


중국 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파견되는 대신. 


명나라 때부터 이 관직이 보이며, 청나라 때에는 황제의 특명을 관방(關防)에 반포하는 직책으로서 그 권한이 매우 컸다고 함. 


황제가 특정의 중요 사건을 처리하기 위하여 둔 관직으로, 3품(品) 이상을 흠차대신, 4품 이하는 흠차관원이라고 하였다.


이 관직은 아편전쟁 이후 광저우에 온 구미 제국 사신과의 교섭을 임무로 한 것



대표적 인물 임칙서


임칙서는 1830년대 중반 영국과 중국의 상인 사이에 행해지던 아편의 밀수입이 급증하는 것을 크게 우려하였던 도광제(道光帝)에 의해 흠차대신(钦差大臣)으로 임명되어 아편 밀수의 중심지역 이었던 광둥성(广东省)으로 파견되었다.


그는 외국상인들이 가지고 있는 아편 전부를 압수하여 폐기시키고, 다시는 아편을 수입하지 않겠다는 서약서를 제출하라고 압력을 가했으며, 이런 마찰에서 생긴 일련의 사건들이 중국에서 자국의 이권을 유지·확충하려는 영국정부에 빌미를 주어 무력간섭을 일으키게 하였다. 


아편전쟁의 계기.


그 결과 영국군은 중국 남부의 도시들을 공격·점령했고, 임칙서(林則徐)의 아편 엄금론(嚴禁论)을 친히 승인했던 도광제는 그를 흠차대신에서 해임하여 북서쪽의 변방으로 좌천


 

 

 

 


'메모 MEMO > 단어vocabul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목점  (0) 2016.07.24
기장  (0) 2016.07.24
안료  (1) 2016.07.24
오리엔탈  (0) 2016.07.19
사학  (0) 2016.07.17
개천절  (0) 2016.07.17
제헌절  (0) 2016.07.17
만청  (0) 2016.07.16
트라이어드  (0) 2016.07.16
반청복명  (0) 2016.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