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STOCK/시 황market conditions

2016/07/04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금일의 지수

 

미국

나스닥지수:4,862.57 +0.41%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17,949.37 +0.11%

 

S&P500 지수:2,100.47 +0.08%

 

 

한국

코스피 지수:1,995.30 7.98포인트(0.40%)

 

코스닥 지수:688.15  3.89포인트(0.57%)

 

* 닛케이, 중국, 유럽 지수 매일 눈 체킹

 

환율

달러/원:1,146.35 -0.28%

 

달러/엔:102.72 +0.23%


 

* 달러/위안, 달러/유로 매일 눈 체킹 


유가

WTI,두바이유,브렌트유

:48~50 달러 -0.06 ~ -0.1%

 

 

금/달러:1,348.95 +0.74%

 

 

 

 

당일의 주요 이슈

:

사건


1.

올 1~6월 유가증권·코스닥 시장 상장 기업은 지난달 30일 코스닥에 입성한 중국 기업 로스웰인터내셔널까지 총 20개에 달한다. 2011년 상반기(35개) 이후 5년 만에 가장 많은 것이다.


20개 종목 가운데 6개(30%)는 공모가 대비 주가가 떨어졌다.


호텔롯데에 집중돼 있던 투자자들의 관심과 자금이 분산되면서 오히려 다른 기업들이 호텔롯데 상장 무산의 반사이익을 얻는 형국이다.






2.

공매도 공시제에 따라 상장사 시가총액 대비 공매도 잔액 비율이 0.5%를 넘긴 투자자는 당일(공시의무 발생일)로부터 3거래일이 지난 뒤 종목명과 이름ㆍ생년월일ㆍ사업자 등록번호ㆍ국적 등 인적 사항을 공시해야 한다. 추가 거래가 없어도 일별 공매도 잔고 비율이 0.5% 이상을 유지하면 매일 공시 의무가 발생한다. 금융감독원에 제출된 해당 투자자 정보는 한국거래소 홈페이지에 게시된다. 


시가총액 3,000억 이하의 중ㆍ소형주는 15억원만 공매도해도 공시해야 하기 때문에 중소형 자산운용사 역시 큰 부담일 수밖에 없다. 



-아시아 주요 증시 9개(중국, 일본,한국, 대만, 인도,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3.

금융감독원은 4일부터 3157개 중 1967개 공모펀드에 새로운 펀드 위험등급을 적용한다고 밝혔다. 펀드 위험등급이 5단계에서 6단계로 1단계 늘어나고, 위험산정은 투자대상 자산의 비중이 아닌 최근 3년 동안 수익률 변동성을 기준으로 한다. 설정 이후 3년이 경과한 펀드가 대상이다. 


고위험 1등급으로 분류되던 주식형 펀드는 새 기준에 따라 1~4등급에 다양하게 분포하고, 4등급 이하로 분류됐던 채권형 펀드 역시 2~6등급으로 세분화됐다. 


금감원에 따르면 위험등급별 평균 변동성은 레버리지 펀드와 신흥국 펀드 등 1등급 초고위험 펀드의 경우 29.3%로 집계됐다. 2등급은 평균 변동성은 18.8%, MMF가 포함된 가장 위험도가 낮은 6등급의 평균 변동성은 0.11%를 기록했다. 


새 펀드위험등급은 판매사 홈페이지 또는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에서 확인 가능하다.



4.외국인은 최근 3일간 선물 1만1235계약을 순매수 하며 시장 상승에 배팅하고 있다.

더불어 외국인 투자자는 현물 시장에서도 최근 3일간 7132억원 순매수 하며 브렉시트 이벤트 발생 이후 3일간 매도한 7546억원과 유사한 수준의 매수를 했다. 즉 현재 상황은 외국인 투자자들이 선물 및 현물 등 주요한 상품 움직임에서 브렉시트 이전보다 많거나 유사한 규모의 매수 회복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5. 미국에서는 힐러리의 지지율이 급등했다. 이는 또 다른 분열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을 뜻한다.



6.연초만 해도 120엔 수준이던 엔 ·달러 환율은 브렉시트 결과가 발표된 지난달 24 일 장중 100엔을 하회하기도 했다. 엔 ·달러 환율이 100엔을 하회한 것은 2013년 11월 이후 2년 7개월 만에 처음이다.



7.국내에서도 7일 삼성전자의 2분기 잠정실적 발표를 시작으로 어닝시즌이 본격적으로 막을 올린다.



8.정제마진 회복 기대감에 정유주가 나란히 상승세다.

4일 오전 9시 35분 현재 SK이노베이션은 전 거래일보다 5500원(3.94%)오른 14만5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롯데캐미칼(2.28%), GS(2.06%), S-Oil(4.35%)도 동반 상승세다. 





의견


1.제약업계는 올 하반기를 시작으로 내년에도 제약·바이오 부문에서 기술수출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미약품의 경우 차세대 표적항암제 'HM95573'가 유력 후보

유한양행이 320명 환자를 대상으로 한 퇴행성 디스크 치료제(YH14618) 

JW중외제약의 암세포 성장과 암 줄기세포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물질 억제 표적항암제(CWP291)

(주의: 이미 시장에 반영이 됬다는점.)




2.첫 공시는 의무 발생일인 지난달 30일부터 3거래일 후인 이달 5일 이뤄지지만 인적 정보 공개 등을 부담스러워한 기관 투자자들이 벌써부터 공매도를 줄이고 있다”



3.전반적인 분위기는 1분기 때보다는 양호한 상황이다. 증시 반등 기운이 여전한 가운데서도 서서히 추격 매수에 대한 부담감은 나타날 수 있는 만큼 실적 위주로 매수종목을 압축하는 자세가 필요해 보인다.




'주식 STOCK > 시 황market condi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07/12  (0) 2016.07.12
2016/07/11  (0) 2016.07.11
2016/07/08  (0) 2016.07.08
2016/07/06  (0) 2016.07.06
2016/07/05  (0) 2016.07.05
2016/07/01  (0) 2016.07.01
2016/06/30  (0) 2016.06.30
2016/06/29  (0) 2016.06.29
2016/06/17  (0) 2016.06.17
2016/06/13  (0) 2016.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