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
외인2000억이상매수
코스피
외인1000억이상매수하며 지수를 견인하는 모습
코스닥
기관이 700억이상매수하며 지수를 견인하는모습
코스피일봉
고점대를 유지하며 횡보하는 모습
코스피분봉
11시 전일고점돌파후 횡보하다가 오후장 직전고점돌파하며 상승마감
코스닥일봉
680포인트의 강한 저항대를 드디어 돌파하고 앞으로 모습은 하락할지 추가 상승할지는 미지수
코스닥분봉
당일시가 장초반이탈, 반등이후 계단식상승하며 종가고가 마감
오늘의시장
상한가 3종목/ 코스피, 코스닥 시장에서 하락한종목대비 상승한종목이 2배이상.
연기금은 코스피를 500억이상매수 투신은 코스닥에서 200억이상매수
해외증시 나스닥 제외 전부양봉마감
유가상승 금값하락 환율상승
코스피업종의 시세
철강,서비스,증권,운수창고 등 순으로 강한모습
코스닥업종의 시세
테마그룹별 업종의 시세
시황정리
코스피시장, 외국인 순매수에 상승, 이틀 만에 사상 최고치 재차 경신.
밤사이 미증시가 기업 실적 호조 속 혼조 마감했으며, 유럽증시는 ECB의 완만한 테이퍼링 발표 속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485.44에서 상승세로 출발. 장초반 약보합세로 돌아서며 2,479.67에서 저점을 형성하기도 했던 지수는 이내 반등에 성공하며 상승폭을 확대하는 모습. 이후 2,490선을 넘어서며 상승세를 이어가던 지수는 2,495선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모습. 장후반 상승폭을 재차 확대한 지수는 2,499.15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결국 2,496.63에서 장을 마감. 전일(현지시간) 유럽중앙은행(ECB)이 시장 예상보다 비둘기파적인 통화정책을 발표한 가운데, 외국인이 1,200억원 넘게 순매수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코스피지수는 이틀 만에 반등하며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재차 경신.
한편, 대만이 하락한 반면, 일본, 중국, 홍콩은 상승하는 등 주요 아시아증시는 대체로 상승.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5.9원상승한 1,130.5원을 기록.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다소 우세. SK하이닉스, 현대차, 삼성물산, 삼성생명, 한국전력, 현대모비스, SK, LG생활건강, 신한지주, 아모레퍼시픽, SK텔레콤 등이 하락. 반면, POSCO가 실적 호조 소식에 2.87% 상승했으며, 삼성전자, NAVER, LG화학, 삼성바이오로직스, SK이노베이션, KB금융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상승 업종이 우세. 철강금속 업종이 3.59% 상승한 것을 비롯해 서비스업, 증권, 운수창고, 비금속광물, 건설업, 의약품, 전기전자, 제조업, 기계, 화학, 운수장비, 음식료업, 종이목재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전기가스업, 통신업, 은행, 유통업, 금융업, 의료정밀, 보험 업종 등은 하락.
코스닥시장, 기관 순매수에 1% 넘게 상승, 연중 최고치 경신.
장마감까지 상승폭을 확대한 지수는 결국 장중 고점인 689.97에서 장을 마감. 외국인과 개인이 동반 순매도했지만, 기관이 700억원넘게 순매수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바이로메드가 16.04% 급등한 것을 비롯해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신라젠, 메디톡스, 코미팜, SK머티리얼즈, 인터플렉스, 포스코켐텍, 파라다이스, 컴투스, 원익IPS 등이 상승. 반면, CJ E&M, 로엔, 펄어비스, 서울반도체, GS홈쇼핑, 휴젤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 기타서비스와 음식료/담배 업종이 3.74%, 2.70% 상승한 것을 비롯해 금속, 제약, 반도체, 비금속, IT 부품, 기타 제조, 화학, 의료/정밀 기기, 오락/문화, IT H/W, 일반전기전자, 정보기기, 소프트웨어, 제조, 운송 업종 등이상승. 반면, 출판/매체복제, 통신방송서비스, 운송장비/부품 등 일부 업종만이 하락.
특징 섹터
중국 소비 관련주
최근 한-중 갈등이 완화될 조짐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는 가운데, 연내 한중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까지 거론되면서 양국의 관계 개선 기대감이 더욱 증폭되고 있음.
일각에서는 다음달 10일 베트남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양자회담과 함께 연내 문 대통령의 중국 방문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이와 관련 금일 쿠첸, PN풍년 등 밥솥주, 롯데관광개발, 세중 등 여행주, 씨케이에이치, 컬러레이 등 국내 상장 중국기업, 마제스타, GKL 등 카지노,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제이에스티나 등 일부 면세점, 한국주철관, 코스온, SK바이오랜드 등 일부 화장품, 초록뱀, NEW 등 일부 엔터테인먼트 등 중국 소비 관련주들이 상승 마감.
'주식 STOCK > 시 황market condi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09/27 아침시황 (0) | 2017.09.27 |
---|---|
2017/09/26 마감시황 (0) | 2017.09.26 |
2017/09/25 아침시황 (0) | 2017.09.25 |
2017/09/22 마감시황 (0) | 2017.09.22 |
2017/5/22 (0) | 2017.05.22 |
2017/05/19 (0) | 2017.05.19 |
2017/05/18 (0) | 2017.05.18 |
2017/05/17 (0) | 2017.05.17 |
2017/05/16 (0) | 2017.05.16 |
2017/05/15 (0) | 2017.05.15 |